2019/09/28 18:30

와일드 와일드 웨스트, 1999 대여점 (구작)


1999년이라는 제작 시기와 감독이 베리 소넨필드라는 점을 보면, 누가봐도 이거 그냥 <맨 인 블랙> 아류로써 한철 장사 해보려 했던 게 아닌가 싶어진다. 아, 주연도 윌 스미스로 동일하다는 점.

극중 시점에서도 이미 끝난 전쟁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남북 전쟁의 여파가 채 가시지 않던 미국 서부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여기에 각기 다른 성격과 능력을 지닌 두 캐릭터를 버디 무비로써 콤비로 이어 붙이고, '맨 인 블랙' 마냥 각종 하이테크 스팀펑크 무기와 장비로 그들을 보좌하는 방식의 영화.

사실 존나 괴작이라고 본다. 만듦새가 좀 괴상한 영화다. 분명 할리우드 1류들이 붙었는데, 대체 왜 영화에서는 B급 2류의 냄새가 진동하는 것인가. 거대 거미 로봇과 날으는 자전거가 난무하는 세계관이라 바로 그 키치함이 B급 냄새의 원인인가 싶기도 하지만 그건 그냥 핑계인 것 같고. 괴작이라는 이유는 그냥 영화가 존나 못 만든 재미없는 영화이기 때문일 것이다.

캐릭터를 첫 소개하는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부터 재미가 없다. 윌 스미스가 연기한 제임스 웨스트는 흑인 제임스 본드를 염두에 두고 만든 캐릭터겠지. 잘생긴 얼굴로 여자들을 후리고 다니며, 멋진 총사위로 적들을 쓸어버리는. 여기에 아무리 위급한 상황일지라도 능청과 유머로 넘기는 점 또한 그렇다. 허나 그게 너무 뻔해서 오히려 재미가 없다. 뻔한 걸 하면 그 익숙함에 재미있을만도 한데, 오히려 영화가 그걸 너무 아무 생각 없이 갖다 쓰고만 있으니까 재밌단 생각이 별로 안 든다.

여기에 그와 콤비로 붙는 케빈 클라인의 고든 역시 재미없기로는 무자비할 정도다. 대략 소심한 천재 공돌이 트릭스터 캐릭터를 데려다가 쓰려 했던 것 같은데 둘의 조합 자체도 전형적이라. 무엇보다 편집이 시망. 영화의 서브 악역과 주연 둘을 소개하는 오프닝 시퀀스의 편집이 이 정도로 리듬감 없어도 된단 말인가. 아니, 그리고 시발 대체 어떤 미친놈의 정부 요원이 중요한 임무 앞두고 잠복해있는데 거기 물탱크에서 여자랑 섹스하냐고. 이거 진짜 돌아도 많이 돈 놈 아냐?

영화의 가장 큰 볼거리라 할 수 있을 스팀펑크 거대 거미 로봇도 그다지 매력이 없다. 애초에 왜 거미를 모티브로 한 건지도 잘 모르겠고. 아, 그냥 그거 설계한 악당이 전투 중 두 다리를 잃은 장애인이라서? 그냥 자신이 잃어버린 다리에 대한 집착 때문에 다리가 여덟개나 되는 거미를 모티브로 삼아 그 로봇을 만든 건가. 하긴, 어차피 요즘 기술력으로도 이족보행 로봇 만드는 거 힘든데 뭐 그 당시라고 가능했겠느냐마는. 미친놈아 그럼 다리 여덟개 거대 로봇은 그 시대에 말이 되냐

윌 스미스는 이 영화 앞뒤로 자신이 연기했던 캐릭터들의 연장선상으로써 이 캐릭터를 소비하고 있고, 케빈 클라인은 성실하지만 별로 재미가 없다. 그 와중에 가히 괴작스런 포스를 내뿜는 건 다름아닌 이 영화의 메인 악역을 연기한 케네스 브레너. 아, 형. 형은 요즘 감독으로 더 날리는 형인데 이 때 왜 이랬어요? 진짜 기괴하게 웃으셨네, 이 형.

버디 무비라는 얼개와 그 캐릭터들은 뻔하지만 분명 재밌고 더 나은 기획으로 발전될 여지도 있었을 것이다. 때문에 이 정도면 감독과 제작진이 태업 했던 거라고 본다. 아니면 바로 이 직전에 찍었던 <맨 인 블랙>에 온 힘을 쏟아붓느라 여기서 쓸 에너지가 더 남아있지 않았던 것일지도. 그러다 이거 망하고 정신차려서 <맨 인 블랙 2>를 그나마 그렇게 찍을 수 있었던 것은 아닐까?

뱀발 - 셀마 헤이엑도 나오는데 왜 나왔는지 1도 모르겠음. 뭐긴 뭐야 그냥 섹스심벌이지 뭐

덧글

  • 로그온티어 2019/09/28 18:58 # 답글

    전 이 영화 좋아합니다. 색다른 둘이 기차에서 만나서 가슴만지고 사막에서 깔때기쓰고 방황하다 이러면 안된다! 하고 각성해서 거미로봇이랑 싸우는 내용이잖아요. 단점은 영화가 짧다는 거죠. 30분 되는 것 같던데... 아, 지금 보니까 1시간47분이군요. 이상하네요. 제가 이 영화보면서 한 거라면 졸은 기억밖에 없는데.
  • CINEKOON 2019/09/29 16:27 #

    ......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