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 일단, 다른 곳도 아니고 픽사 스튜디오의 신작이었다는 데에서 점수가 많이 깎인다. 근데 이건 <메이의 새빨간 비밀>만의 잘못이라고 할 수는 없다. 얘가 무슨 잘못이 있어, 그저 앞서 나온 형제 영화들이 넘사벽이었을 뿐인 거지. 픽사의 전성기 시절에 나온 <토이 스토리> 시리즈라든가 <몬스터 주식회사>, <월-E>, <라따뚜이>, <업>과 같은 영화들에 비교한다면 당연히 떨어질 수 밖에 없지 않나. 하여튼 바로 그 때문에 어쩔 수 없게도, <온워드 - 단 하루의 기적>, <루카>와 함께 <메이의 새빨간 비밀>은 일종의 픽사 위기설에 땔감으로 전락하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픽사가 아니라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또는 드림웍스의 작품이었다고 한다면 이 정도로 아쉽진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훨씬 더 좋게 봤을 수도.
그러니까 픽사 작품 치고 평범하다는 것이지, 영화 자체만 놓고 보면 충분히 즐길 만하다. 일단 영화가 너무나도 귀엽다. 아니, 좀 과하다 싶을 정도로 귀엽다. 그런 말도 있지 않나, 귀여운 게 세상에서 제일 최고라고. 그 기준에서 본다면, <메이의 새빨간 비밀>은 거의 황금종려상 감이다. 픽사 영화 뿐만 아니라 내가 지금까지 봐온 애니메이션들 중 가장 귀여운 영화가 아닐까 싶었다. 봐라, 렛서팬더로 변한 메이가 얼마나 귀여운지! 귀여운 건 뭘해도 다 용서받는다. 분노하거나 흥분하면 렛서팬더로 변한다는 설정, 사실상 헐크의 애니메이션 버전이라고 볼 수도 있을 텐데 얘는 귀여워서 다 용서가 되고 이해가 된다. 엄마 말 안 듣고 친구들이랑 밤새 파티 하며 놀아? 귀여우니까 쌉가능. 같은 반 남자애를 반쯤 쥐어 패? 귀여우니까 쌉가능. 거대한 렛-질라와 렛서 레인저 5인조가 거대 스타디움 경기장을 박살 냈다고? 두 말하면 뭘해, 귀여우니까 쌉가능.
그외에도 영화가 따뜻하게 느껴지는 부분들이 많다. 분노하거나, 흥분하거나, 수치심을 느끼거나 할 때마다 렛서팬더로 변신하는 소녀의 이야기는 일종의 성장기에 대한 우화로 느껴진다. 그것은 사춘기가 될 수도 있고 아니면 영화가 직접 언급 하듯 소녀들이 처음 겪는 생리, 즉 월경 주기에 대한 우화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보호하려는 부모 세대와 벗어나려는 자식 세대 간의 갈등. 영화는 역시 그것에도 주목한다. 사실 이런 종류의 영화에서 굉장히 뻔하게 자주 다뤄지는 소재이긴 하다. 특히 북미 지역에서 살아가는 동양인 이민자 가족을 다룰 땐 항상 코멘트 되는 소재지. 고국의 정신과 전통을 지키려는 부모 VS 현재의 삶과 사회에 더 집중하려는 자식. 이 구도를 할리우드는 아마 당분간 놓을 생각이 없나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게 마냥 싫다는 건 아님. 엄청 진부한 소재와 묘사인 것은 사실이지만 어쨌거나 이런 종류의 애니메이션 가족 영화에서 다루기엔 최적의 소재이기도 하니까.
아, 근데 다른 거 다 떠나서 그냥 영화가 너무 귀엽다. 너무 너무 귀여워서 죽빵 한 대 갈기고 싶을 정도로 귀엽다. 복슬복슬 스펙터클이란 이런 것일까? 다음에 디즈니랜드 가면 렛서팬더 인형 하나 업어와야겠다. 이제 스티치 원툴의 시대는 갔다!
덧글
잠본이 2022/03/25 13:35 # 답글
픽사는 아무래도 디즈니와 한몸이 된 뒤로는 기만 잔뜩 빨리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ㅠㅜ
CINEKOON 2022/03/28 12:59 #
그리고 단물 빠진 요즘의 픽사라고는 해도 여전히 좋은 작품들을 만들고는 있지만, 확실히 디즈니 품으로 들어간 이후부터는 핵심 인력과 노하우(?)들을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 좀 빼앗긴 게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